본문 바로가기

기타

"연예인 공인" 사전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에서의 공인

반응형

1. 서론
 
연예인이 공인이라는 주장이 계속 이어져 오고 있다. 어떤 가수의 콘서트가 관객에 의해고발 당했다. 이유는 선정적. 그 후로 인터넷에선 네티즌들이 찬반여론이 들끓었다. 고발에 찬성하는 네티즌의 이유는 연예인은 공인이기 때문. 파급력이 그만큼 뛰어나다고 판단한 모양. 공인은 공적인 일을 하는 사람. 사전적 의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인이 사전적 의미로 빗대어 볼 때 연예인은 공인이 아니라고 할 것. 연예인은 사전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로는 어떨지, 연예인을 공적인 일을 하는 사람으로 볼지, 아니라면 무엇 때문에 아닌지 그 이유의 해결방법은 무엇일지 알아보자.

2. 사전적 의미
사전적 의미에선 공적이란 단어가 들어간다. 사람들은 공적이란 일이 국가에 대한 일이라고만 생각하지만, 사전적 의미는 “국가나 사회에 관계되는“이라 여기서 주목해야 할 단어는 사회다. 대부분 공적은 국가에 관한 일이라 생각하지만, 모든 사람이 알다시피 사회는 말할 필요도 없다. 사전적의미로는 연예인이 공인이라고 결론이 나온 거 같다.

3. 사회적 의미
보편적으론 사회적으로 공인으로 정해진 직업이 있다. 정치인, 공무원 운동선수 등 많지만, 인식이 비슷한 운동선수와 연예인을 비교 해보자. 먼저 운동선수를 아는 사람은 굉장히 많다. 또 친근하다. 그 사람의 생활이 뉴스거리가 된다. 많이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 연예인을 비교 해보면 친근함, 생활의 뉴스거리, 콘서트나 영화 여러 가지 매체로 접촉 할 수 있다. 사회적 의미로도 별 다르지 않게 공인이라고 판단 할 수 있을 것 같다.

4. 사회적 공인의 현실
여기서 연예인이 공인이 아니라는 이유론 광대라고 말한 가수 성시경씨가 있다. 그는 연예인은 광대라고 표현을 하셨다. 덧붙여 광대라고 하신 이유는 “사람”들이 좋아하면 좋고 안 좋아 해주면 끝이라고 하셨다. 여기서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사전적 측면으로 다가 간다면, 광대라고 쓴 이유에서 “사람“ 이걸 사회로 표현하면 어떨까? 의미가 달라질까? 아까와 마차가지로 공인은 사회에 관해서 일을 하는 사람이라 하였다. 여기서 봤을 때 나는 성시경씨의 말에 동의할 수가 없다. 이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사람들의 사전적 의미를 잘 모르는 듯하다. 공적이라는 단어가 사회라는 단어도 포함되고 있다는 걸 사람들이 알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좋은 방법으론 연예인, 운동선수, 정치인 등의 기사에 서로 공인에 대한 논쟁이 일어날 때 댓글로 알려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아니면 기자가 아예 공인의 내용을 넣어도 될 듯하다. 사전적 의미만 잘 알려도 충분하다.

5. 결론
 
지나가는 사람한테 연예인이 공인일까요? 라고 물어본다면 대부분은 맞는다고 할 것. 나머지는 아니라고 할 것. 이유를 물어보면 공인은 공적인 일을 하는 사람이라는 대답을 할 사람은 굉장히 많을 것. 그 사람들이 무식하다고 말할 수 없다. 우리 서로의 잘못이라면 잘못이다. 나도 처음엔 사전적 의미에서부터 공인이 아니라면 연예인은 공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려 했다. 사회적으론 벌써 공인이라는 결론이 보편적으로 퍼져있었다. 사전적 의미로 이렇게 공인이라고 나왔으므로 다른 사람한테도 알릴 필요가 있다. 언론에서도 공인이라 생각하고 기사를 쓸 때 유의를 해야 할 것.

P.S 이건 필자가 학교과제를 위해 만든것 S대학 발표토론과 글쓰기를 위해 만든것이므로
      상업적으로(이용할 가치도 없지만...) 이용시 신고합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반응형